영어 실력과 무관하게 누구나 수업 참여가 가능합니다. 영문해석과 번역에 관심이 있거나 자신의 영어 문장을 정교하게 다듬고 싶으신 분, 영어 원서를 읽으며 난해한 문장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싶으신 분도 좋습니다. 영어의 문체는 원어민들에게도 낯선 주제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기초에서 고급 수준의 수강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강의입니다.
2025년 5월 3일 시작
매주 토요일 12시-3시
서교동 338-1 페르아미카실렌티아루네
온라인 ZOOM 병행합니다.


1강_ 영어 문체의 역사
- 영어 문체의 역사
- 그리스어를 쓰는 두 가지 방식 : 애티카 스타일과 아시아 스타일
- 헬리카르나수스의 디오니시우스(10 B.C.)와 라틴어 문체 논쟁
- 문체의 편견 : 아시아의 창녀(Asian harlot)를 조심하라!
– 아우구투스 황제의 칙령 : 로마에서 아시아 풍(style)을 배격하라!
- 영어 문체와 구어/문어와의 관계
- 서양 정신의 두 기둥 :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 추상과 구체 : 문체의 표현력 - 문장의 화려함과 의미의 구체성
- 사무엘 존슨을 감동시킨 신약 성서의 문장 : “Jesus wept.”
- 성 어거스틴의 고백: 짧고 투박한 언어(humble gait)에 깃든 하나님의 은총
2강_ 영어 어휘의 역사
- 고대 영어에서 현대 영어까지의 영어 어휘의 역사
- 영어 어휘 : 앵글로 색슨어의 “scare,” 프랑스 차용어의
“frighten,” 라틴어의 “terrify”
- 어휘의 위상 : 지식과 학문을 대변하는 라틴계 어휘, 교양과 문화의 프랑스어 어휘, 일상과 감각을 대변하는 앵글로-색슨 어휘
- 고대 영어의 기본 어휘에서 바이킹 침입으로 수입된 동계 어휘
- 노르망디 공 정복자 윌리암의 영국 침입과 프랑스어의 수입
- 르네상스와 라틴어 및 그리스어 차용어
- 유창한 읽기 능력에 필요한 10,000 단어
- 영어의 유사 어휘와 영어 어휘의 3층 구조(영어- 라틴어- 불어)
3강_ 영어 문체의 원리 (stylistic principles)
- Plain Style : 짧고 간결한(short and simple) 문장이라는 환상
- 독자 기대(reader expectation) 이론 : 영어 문장의 이해, 해석,
판단의 기준
- 오류의 현상학 : 해석의 오류는 문법이 아닌 문체의 문제다
- 문체의 광휘 : 명확성(Clarity)와 우아함(Grace)으로 대변되는
영어 문체의 두 원리
- “명확성”을 실현하는 영어 문체의 세부 원리 :
emphasis, clarity, cohesion, coherence
- “우아함”을 실현하는 영어 문체의 세부 원리 :
concision, balance, elegance
- 소크라테스의 고백 : “아름다운 것은 어려운 것이다”
- 수동태의 탁월함 : 헤밍웨이의 소설(“The Sun Also Rises”) 속
등장인물 Robert Cohen의 성격을 드러내는 문장과 수동태 표현
- “it surprised me”와 “Jane arrived late”를 한 문장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무려 467가지
4강_ Clarity, 문장의 가독성(readability)을 결정하는 문체 원리
- 편견의 역사 : 아이작 뉴튼과 학술 문체의 등장
- 문장 길이(sentence length)와 이해력의 관계
- 민담구조에서 차용한 이야기 문법(story grammar)
- 영어 문장의 명료성(clarity)을 결정하는 기준 : 주어-동사가 아닌 행위주 (character)-행위 (action)
- “행위”를 표현하는 방식 : 명사화 구문(nominalization)과 동사화 구문(verbalization)
- 명사화 구문의 용법
- 단순하고 명료한 문장을 만드는 편집 실습
(주어와 행위주를 중심으로)
5강_ Emphasis, 문장 속 필자의 의도가 머무는 장소
- 문장과 단락에서의 강조 기법
- UCLA의 실험 (1985) : 원어민의 시선과 해석이 멈추는 곳
End Focus/문미 초점
- 문장의 강세가 드러나는 장소 Stress Position의 주요 기능
- Complex Subject : 단지 주어의 길이나 형식만으로 주어 해석의 어려움을 판단할 수 없다
- 영어식 강조 표현인 “분열문(Cleft Sentences)” : it is … that, there is (are), 관계대명사 what 구문의 정확한 용법과 차이점 구별
- Topic, Stress, Theme : 단락의 화제(topic)를 배치하고 연결하는 방식 그리고 단락의 요지나 강조점(point)를 표현하는 방식
- 화제구조분석(topical structure analysis : TSA) : 영미권의 탁월한 편집자들이 사용하는 영어 단락 기법
- 명료하고 우아한 단락 수정과 편집 실습
(단락의 화제 구조 분석 활용)
6강_ Cohesion/Coherence, 문장과 단락의 연결 방식
- Grammar of Passage : 문법은 문장이 아닌 단락과 글 전체에도 적용된다
- Cohesion : 문장과 문장의 연결방식
- 구정보-신정보(old to new)의 연결 방식
- Paragraph Logic : 영어식 단락의 구성은 Issue-Point-Discussion이다
- 도입 문장(opening sentence)의 기능:단락의 첫 문장이 갖는 중요한 역할
- 영어 단락의 전개 방식 : 화제 전환(topic changing)과 화제 반복(topic stringing)
- Coherence : 의미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단락 구성의 원리
- Clutters : 문장의 도입부를 어지럽히는 불필요한 수식어의 종류
- Scarla가 분석한 한미 대학생들의 전환사(however, therefore, as a result…)
- Hedging : 주장과 사실 진술의 차이를 구분하는 영어의 고유 표현
- Metadiscourse : “however” 같은 표현만 평생 연구하는 학자도 있다
- Lexical Cohesion : “this + summary word”와 “it” “they”와의 차이점
- “as has been discussed earlier”와 같은 문장 연결 표현
- 수동태의 존재 이유
- 병렬 구문(parallelism) : 문장과 단락의 정보 연결 기능
- Levels of Generality(서술의 깊이) : 문장과 단락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영미 산문의 특징
- 영미 작가들의 탁월한 영어 단락 분석과 이해
- 명료하고 우아한 단락 수정과 편집 실습(단락의 화제 구조 분석과 문장 연결 방식)
7강_ Concision, 요약(summarization)과 은유(metaphor)로
움직이는 생각
- 아시아 문체의 본질인 “Aphorism”을 떠올린다
- “간결함”을 양분하는 brevity와 concision의 차이
- Christine Feak이 분석한 성공적인 학업계획서의 문장 특징
- 우리가 시(poetry)를 읽어야 하는 이유
- 누군가의 시를 학습하고 개작하는 “found poems”의 학습 방법
- 로마인들의 모방 교수법(imitation approach)
- 영국의 천재 시인 Samuel Johnson은 ‘Jesus wept”와 같은 문장을 신약 성서 최고의 문장으로 꼽았다
- 구두 언어와 문자 언어의 특징과 “redundancy”의 문제
- 짧고 간결한 문장의 특수한 기능
- 은유와 문장 길이를 활용한 단락 분석과 편집 실습
(Concision의 적용)
8강_ Balance, 균형과 비례를 반영한 문장 구조
- 등위구문(coordination)와 병렬구문(parallelism)의 차이
- 등위구문 : 구, 절, 문장의 문법적인 연결 방식
- 다양한 시리즈 연결 방식(serial coordination)과 구두점 사용
- 등위구문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두점 용법
- 접속 부사(conjunctive adverbs)의 종류 : 구두점, 문장 강세, 문장 리듬 이해하기
- 접속부사와 전환사의 선택(furthermore와 in addition)
- 구두점 “comma”와 접속사 “and”의 오용 사례
- sentence acrobat : 문장의 장인이 빚어내는 병렬구문
- 자신을 의식하는 문장 : 문장 길이(sentence length), 문장 리듬(sentence rhythm) 그리고 문장 성숙도(sentence maturity)에 관하여
- 균형과 비례를 반영한 문장 분석과 편집 실습(Balance 원리의 적용)
9강_ Elegance, 파격과 비대칭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
- 문장 길이(sentence length)와 문장 리듬(sentence rhythm)의
이해와 적용
- 문장의 대칭(symmetry)과 비대칭(asymmetry)의 이해
- 위대한 작가보다 더 위대한 문장들 : “cumulative sentence” “periodic sentence” “balanced sentence” “unbalanced sentence”
- 일상적인 문장에 숨겨진 화려한 수사 기법 : “chiasmus” “anaphora” “epistrophe” 그리고 또...
- 화려한 문장의 원리 : balance(균형)과 elegance(파격)의 배치 방법
- 위대한 연설(great speeches)의 문장 분석
- 세련된 뉴요커(New Yorker) 잡지에 등장하는 탁월한 문장의
발견과 분석
- 정교한 파격 구문을 반영한 편집 실습(Elegance 원리의 적용)
10강_ 구두점의 역사와 용법
- 고대인의 감각 : 청각은 사물의 본성을 드러낸다
- 예수의 사도 빌립보과 에티오피아 내시의 이사야서 읽기
- 구두점의 역사 : 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
- 구두점 사용의 다양한 목적과 역할
- 구두점의 기능과 스타일
- 구두점과 소리 내어 글 고치기(read aloud) 전략
- 구두점과 문장 길이 그리고 문장 리듬의 관계
- 위계(hierarchy)는 구두점 사용의 최종 원리
- 구두점 오류 확인과 편집 실습
1강_ 영어 문체의 역사
- 영어 문체의 역사
- 그리스어를 쓰는 두 가지 방식 : 애티카 스타일과 아시아 스타일
- 헬리카르나수스의 디오니시우스(10 B.C.)와 라틴어 문체 논쟁
- 문체의 편견 : 아시아의 창녀(Asian harlot)를 조심하라!
– 아우구투스 황제의 칙령 : 로마에서 아시아 풍(style)을 배격하라!
- 영어 문체와 구어/문어와의 관계
- 서양 정신의 두 기둥 :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 추상과 구체 : 문체의 표현력 - 문장의 화려함과 의미의 구체성
- 사무엘 존슨을 감동시킨 신약 성서의 문장 : “Jesus wept.”
- 성 어거스틴의 고백: 짧고 투박한 언어(humble gait)에 깃든 하나님의 은총
2강_ 영어 어휘의 역사
- 고대 영어에서 현대 영어까지의 영어 어휘의 역사
- 영어 어휘 : 앵글로 색슨어의 “scare,” 프랑스 차용어의
“frighten,” 라틴어의 “terrify”
- 어휘의 위상 : 지식과 학문을 대변하는 라틴계 어휘, 교양과 문화의 프랑스어 어휘, 일상과 감각을 대변하는 앵글로-색슨 어휘
- 고대 영어의 기본 어휘에서 바이킹 침입으로 수입된 동계 어휘
- 노르망디 공 정복자 윌리암의 영국 침입과 프랑스어의 수입
- 르네상스와 라틴어 및 그리스어 차용어
- 유창한 읽기 능력에 필요한 10,000 단어
- 영어의 유사 어휘와 영어 어휘의 3층 구조(영어- 라틴어- 불어)
3강_ 영어 문체의 원리 (stylistic principles)
- Plain Style : 짧고 간결한(short and simple) 문장이라는 환상
- 독자 기대(reader expectation) 이론 : 영어 문장의 이해, 해석,
판단의 기준
- 오류의 현상학 : 해석의 오류는 문법이 아닌 문체의 문제다
- 문체의 광휘 : 명확성(Clarity)와 우아함(Grace)으로 대변되는
영어 문체의 두 원리
- “명확성”을 실현하는 영어 문체의 세부 원리 :
emphasis, clarity, cohesion, coherence
- “우아함”을 실현하는 영어 문체의 세부 원리 :
concision, balance, elegance
- 소크라테스의 고백 : “아름다운 것은 어려운 것이다”
- 수동태의 탁월함 : 헤밍웨이의 소설(“The Sun Also Rises”) 속
등장인물 Robert Cohen의 성격을 드러내는 문장과 수동태 표현
- “it surprised me”와 “Jane arrived late”를 한 문장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무려 467가지
4강_ Clarity, 문장의 가독성(readability)을 결정하는 문체 원리
- 편견의 역사 : 아이작 뉴튼과 학술 문체의 등장
- 문장 길이(sentence length)와 이해력의 관계
- 민담구조에서 차용한 이야기 문법(story grammar)
- 영어 문장의 명료성(clarity)을 결정하는 기준 : 주어-동사가 아닌 행위주 (character)-행위 (action)
- “행위”를 표현하는 방식 : 명사화 구문(nominalization)과 동사화 구문(verbalization)
- 명사화 구문의 용법
- 단순하고 명료한 문장을 만드는 편집 실습
(주어와 행위주를 중심으로)
5강_ Emphasis, 문장 속 필자의 의도가 머무는 장소
- 문장과 단락에서의 강조 기법
- UCLA의 실험 (1985) : 원어민의 시선과 해석이 멈추는 곳
End Focus/문미 초점
- 문장의 강세가 드러나는 장소 Stress Position의 주요 기능
- Complex Subject : 단지 주어의 길이나 형식만으로 주어 해석의 어려움을 판단할 수 없다
- 영어식 강조 표현인 “분열문(Cleft Sentences)” : it is … that, there is (are), 관계대명사 what 구문의 정확한 용법과 차이점 구별
- Topic, Stress, Theme : 단락의 화제(topic)를 배치하고 연결하는 방식 그리고 단락의 요지나 강조점(point)를 표현하는 방식
- 화제구조분석(topical structure analysis : TSA) : 영미권의 탁월한 편집자들이 사용하는 영어 단락 기법
- 명료하고 우아한 단락 수정과 편집 실습
(단락의 화제 구조 분석 활용)
6강_ Cohesion/Coherence, 문장과 단락의 연결 방식
- Grammar of Passage : 문법은 문장이 아닌 단락과 글 전체에도 적용된다
- Cohesion : 문장과 문장의 연결방식
- 구정보-신정보(old to new)의 연결 방식
- Paragraph Logic : 영어식 단락의 구성은 Issue-Point-Discussion이다
- 도입 문장(opening sentence)의 기능:단락의 첫 문장이 갖는 중요한 역할
- 영어 단락의 전개 방식 : 화제 전환(topic changing)과 화제 반복(topic stringing)
- Coherence : 의미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단락 구성의 원리
- Clutters : 문장의 도입부를 어지럽히는 불필요한 수식어의 종류
- Scarla가 분석한 한미 대학생들의 전환사(however, therefore, as a result…)
- Hedging : 주장과 사실 진술의 차이를 구분하는 영어의 고유 표현
- Metadiscourse : “however” 같은 표현만 평생 연구하는 학자도 있다
- Lexical Cohesion : “this + summary word”와 “it” “they”와의 차이점
- “as has been discussed earlier”와 같은 문장 연결 표현
- 수동태의 존재 이유
- 병렬 구문(parallelism) : 문장과 단락의 정보 연결 기능
- Levels of Generality(서술의 깊이) : 문장과 단락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영미 산문의 특징
- 영미 작가들의 탁월한 영어 단락 분석과 이해
- 명료하고 우아한 단락 수정과 편집 실습(단락의 화제 구조 분석과 문장 연결 방식)
7강_ Concision, 요약(summarization)과 은유(metaphor)로
움직이는 생각
- 아시아 문체의 본질인 “Aphorism”을 떠올린다
- “간결함”을 양분하는 brevity와 concision의 차이
- Christine Feak이 분석한 성공적인 학업계획서의 문장 특징
- 우리가 시(poetry)를 읽어야 하는 이유
- 누군가의 시를 학습하고 개작하는 “found poems”의 학습 방법
- 로마인들의 모방 교수법(imitation approach)
- 영국의 천재 시인 Samuel Johnson은 ‘Jesus wept”와 같은 문장을 신약 성서 최고의 문장으로 꼽았다
- 구두 언어와 문자 언어의 특징과 “redundancy”의 문제
- 짧고 간결한 문장의 특수한 기능
- 은유와 문장 길이를 활용한 단락 분석과 편집 실습
(Concision의 적용)
8강_ Balance, 균형과 비례를 반영한 문장 구조
- 등위구문(coordination)와 병렬구문(parallelism)의 차이
- 등위구문 : 구, 절, 문장의 문법적인 연결 방식
- 다양한 시리즈 연결 방식(serial coordination)과 구두점 사용
- 등위구문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두점 용법
- 접속 부사(conjunctive adverbs)의 종류 : 구두점, 문장 강세, 문장 리듬 이해하기
- 접속부사와 전환사의 선택(furthermore와 in addition)
- 구두점 “comma”와 접속사 “and”의 오용 사례
- sentence acrobat : 문장의 장인이 빚어내는 병렬구문
- 자신을 의식하는 문장 : 문장 길이(sentence length), 문장 리듬(sentence rhythm) 그리고 문장 성숙도(sentence maturity)에 관하여
- 균형과 비례를 반영한 문장 분석과 편집 실습(Balance 원리의 적용)
9강_ Elegance, 파격과 비대칭을 강조하는 문장 구조
- 문장 길이(sentence length)와 문장 리듬(sentence rhythm)의
이해와 적용
- 문장의 대칭(symmetry)과 비대칭(asymmetry)의 이해
- 위대한 작가보다 더 위대한 문장들 : “cumulative sentence” “periodic sentence” “balanced sentence” “unbalanced sentence”
- 일상적인 문장에 숨겨진 화려한 수사 기법 : “chiasmus” “anaphora” “epistrophe” 그리고 또...
- 화려한 문장의 원리 : balance(균형)과 elegance(파격)의 배치 방법
- 위대한 연설(great speeches)의 문장 분석
- 세련된 뉴요커(New Yorker) 잡지에 등장하는 탁월한 문장의
발견과 분석
- 정교한 파격 구문을 반영한 편집 실습(Elegance 원리의 적용)
10강_ 구두점의 역사와 용법
- 고대인의 감각 : 청각은 사물의 본성을 드러낸다
- 예수의 사도 빌립보과 에티오피아 내시의 이사야서 읽기
- 구두점의 역사 : 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
- 구두점 사용의 다양한 목적과 역할
- 구두점의 기능과 스타일
- 구두점과 소리 내어 글 고치기(read aloud) 전략
- 구두점과 문장 길이 그리고 문장 리듬의 관계
- 위계(hierarchy)는 구두점 사용의 최종 원리
- 구두점 오류 확인과 편집 실습